본문 바로가기
강의들을건대 3학년 1학기/기후변화와산업

기후변화와산업 9주차 [ 재생에너지, 태양, 바람 ]

by 공부해열 2023. 5. 4.

우리는 보통 재생에너지하면 태양광을 많이 생각하는데 사실 풍력은 굉장히 효율적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먼바다에 설치하면 지역주민들이 크게 민원을 넣지 않는다고 합니다. 바람에너지는 엄청 많아서 설치를 잘하면 모든 전 세계 모든 전기를 공급가능하다고 합니다. 풍력발전기는 1년 정도 효율적으로 돌면 제작단계에서 발생한 환경오염을 상쇄한다고 합니다.

 

바다를 이용하는 에너지로는 조석간만의 차를 이용한 조력발전소가 있습니다. 우리나라에는 안산 대부도 근처에 시화나래가 있고 시화 조력발전소가 있습니다. 그리고 이발전소가 세계 최대규모의 조력발전소라고 합니다. 그리고 또 다른 에너지로 파력에너지가 있습니다. 이것은 제주도서쪽 바다에 파력발전소가 있다고 합니다. 면적당 에너지발전 효율이 태양광, 풍력보다 좋다고 합니다. 그리고 해수온도차를 이용도 가능하다고 합니다. 또 해류를 이용할 수도 있다고 합니다.

다음은 물과 지열을 이용하는 에너지입니다. 그 처음은 수력입니다. 아주 오래전부터 사용한 발전 방식인데 댐을 이용하여 물의 낙차에서 오는 에너지를 이용하는 것입니다. 이미 우리나라에는 지을 만한 데는 다 지었다고 합니다. 그리고 소수력반전 기는 댐같이 큰 규모가 아니라 작은 물의 흐름을 이용하는 것입니다. 휴대용으로 가지고 다닐 수 있는 마이크로 수력 발전기도 있다고 합니다. 지열도 오래된 에너지입니다. 그 대표적인 게 온천입니다. 온천으로 난방을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지열이 높은 지역은 지열을 이용해 물을 끓여 터빈을 돌려 발전하는 방법도 있다고 합니다.

생물을 이용하는 에너지를 보통 바이오 에너지라고 합니다. 장작도 바이오 에너지고 유채꽃에서 기름을 바이오디젤을 만듭니다. 폐식용유도 바이오 디젤을 만들 수 있습니다. 전분작물과 목질계 작물로 바이오 에탄올을 만들어 낼 수 있습니다. 바이오에탄올과 휘발유를 섞어 사용할 수 있습니다. 생물에서 유래한 에너지자원은 실물을 포함한 생물이 생장하며 공기 중의 이산화탄소가 축적되어 만들어집니다. 따라서 생물자원을 태울 때 화석연료처럼 이산화탄소가 발생하지만 식물의 흡수량을 고려하면 실제 방출되는 이산화탄소의 양은 0입니다.

많은 재생에너지는 주민수용성이 떨어집니다. 하지만 잘못 알고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태양광 발전설비는 전자파문제가 있는데 나오는 전자파는 가전기기와 비슷합니다. 또 빛반사문제는 말이 안 됩니다. 흡수하려고 만든 패널에서 반사될 수는 없습니다. 모듈세척으로 주변토양 및 지하수수 오염문제는 어느 정도 있습니다. 하지만 특별한 세제를 쓰지 않고 가정용 세제정도로 세척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수상태양광은 수질오염문제는 이미 방수처리가 되기 때문에 오염물이 나오지 않는다고 합니다. 그리고 풍력발전소는 소음이 있는 것은 사실입니다. 그래도 거주지에서 멀리 설치하면 문제 되지 않는다고 합니다. 풍력발전기가 주변산림을 훼손하게 되는데 이것은 법적으로 사용을 다한 발전소는 원상복구가 원칙이라고 합니다. 야생조류가 피해를 입는 문제는 사실 고층건물에 더 많이 박아 죽는다고 합니다. 해상풍력은 주변생태계문제가 있는데 이것은 사실 바다에 구조물이 있으면 어자원이 더욱 풍부해진다고 합니다.

RPS제도는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화 제도로서 50kw 이상 발전사업자는 반드시 일정비율 이상을 신재생에너지 자원으로 발전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어느 정도 규모의 발전기업은 13% 이상을 재생에너지를 발전해야 하는데 쉽지 않습니다. 그래서 REC라는 것을 만들었는데 이것은 소규모재생에너지 발전소에 재생에너지를 생산할 때 정부에서 채권처럼 발행해서 소규모재생에너지 발전소에 줍니다. 이것을 대기업이 사들이면 RPS 발전량을 채워주는 제도입니다. 신재생에너지원별 REC 가중치를 정해서 줍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