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강의들을건대 1학년 2학기/미디어로보는부동산

미디어로보는부동산 2주차

by 공부해열 2021. 9. 7.

Q: 과제

수업시간에 제시하는 의견과 토론을 글로 대체하여 나누고자 하는 과정으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제출하셔야 하는 사항은 제가 수업말미에 제시해 드린 글을 읽으시고 이 글에 대한 견해를 젯하시면 됩니다.

난제가 아니라고 생각하는 것부터 어떤 의견이든 좋습니다. 본인의 난제에 대한 생각이라든지 혹은 이 문제의 해결방안을

필자는 정부의 개입이라고 했는데 그 방법에 대한 이견, 혹은 더 나은 해결방안 무엇이든지 좋습니다.

재출해 주시면 제가 읽고 그 중 호개해드릴만한 견해를 골라서 수업시작전에 공유하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A:
저는 난제라고 생각하지않습니다. 시장경제에 정부가 개입하게되면 오히려 시장자체가 무너지게 됩니다. 마치 지금의 부동산 시장처럼요
야근수당 출산장려 일자리나누기가 왜 큰틀이 되었으며 왜 택배기사 기사들은 왜 생존권만 보장 받게 되었나요 그것은 수요와 공급에 따라 움직입니다 결국 택배를 받기원하는 고객보다 택배 배달을 하려는 기사들이 많기 때문입니다. 냉혹하지만 현실입니다. 그리고 반대로 생각하면 오히려 성과대로 가져가기 때문에 일반 사회인보다 좋은 상황일수도 있습니다. 택배기사를 처음 하게되면 월170정도에 수익을 얻는다고 합니다. 하지만 숙련되어 베테랑이 되면 400~600만원에 수익을 가져간다고 합니다. 반대로 중소기업 다니는 회사원들은 처음에 최저시급에 해당되는 임금을 받는게보통입니다. 그리고 1년 지날때마다 평균 5%의 임금이 상승하게 됩니다 처음에는 180만원 그다음해에는 190만원 그다음해에는 200만원 정도 입니다. 3년차가 되면 겨우 200을 넘습니다. 필자가 예기하는 사상은 공산주의에 가까운것 같습니다. 그리고 근무여건의 문제를 해결하기위해서는 기업이 조금더 윤리적으로 책임을 져야한다고 생각합니다. 결국 시장은 수요와 공급으로 작동하기에 수요인 택배를 원하는 고객보다 택배기사가 적다면 저절로 택배기사의 인건비는 올라가게되고 택배비가 올라 갈것입니다. 그리고 슈퍼마켓 예기도 일맥상통한것입니다. 왜 택배로 시킨것이 수퍼마켓에서 사는것보다 싸면 안되는지 그게 왜 불공정 경쟁인지 잘모르겟습니다. 사업자든 노동자든 요즘처럼 고도화된 시장경제에서 더욱 자신을 갈고 닦아야합니다. 어쨋든 시대는 계속 발전할것이고 결국 거의모든 직업이 ai또는 로봇으로 대체될것입니다. 필자에게 "마차의가격이 자동차의 가격보다 비쌉니다. 무엇을 이용하실겁니까?"라고 반문해보고 싶습니다. 결국 필자의 말대로 정부는 큰틀을 계획하고 기업은 틀안에서 도의적 책임을 다해야하고 노동자는 조금더 현명하게 일한다면 좀더 좋은 사회가 될수있다고 봅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