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강의들을건대 1학년 2학기/미디어로보는부동산

미디어로보는부동산 4주차

by 공부해열 2021. 9. 25.

4주차에 배운 내용은 사회적가치와 지속가능한 발전 중 사회적 가치의 개념과 특성, 지속 가능한 발전 개념, 지속 가능한 발전의 등장 배경, 지속 가능한 발전의 스펙트럼, 등을 배웠습니다.

 

사회적 가치와 지속가능한발전

‘사회적’
• 공동생활을 영위하는 모든 형태의 인간 집단을 의미하는 사회에서 파생된 용어로 사회에 관계되고 나 사회성을 지닌 것으로 해석함
• 즉 ‘사회적’이란 용어 안에는 타인과의 관계를 고려한다는 의미가 포함되어 있으며, 사회가 사람의 집합에서 시작되므로 다양한 이해관계가 존재함
‘가치’
• 사물이 지닌 쓸모, 대상이 인간과의 관계로 지니게 되는 중요성, 인간의 욕구나 관심의 대상 또는 목표가 되는 진, 선, 미 따위를 통틀어 이르는 말임
• 가치의 정의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치란 인간관의 관계로 정의되며, 특정한 행동이 바람직한지, 공동체에서 지향할 만한지 등을 평가하는 데 핵심적인 요소라고 할 수 있음


‘사회적 가치’
• 이러한 ‘가치’와 ‘사회적’이라는 용어의 출발에서 볼 때 사회적 가치는 다양한 이해관계를 모두 고려하여 개인을 넘어서 공동체가 선호하는 가치로서 사적 편익이 아니라 공동체가 공유하고 중요하게 여기는 것에 관심을 두고 추구하는 가치를 의미함
• 따라서 사회적 가치는 사회의 구성원들이 관심 있어 하는 21세기의 향후 우리의 삶은 더 공정할 것인지, 혹은 더 행복할 것인지, 생태적 재앙의 경고는 어떻게 해결할 것인지, 사회적 양극화를 해결할 방법은 무엇인지 등 공동체의 미래에 대한 부분임
• 공동체의 미래에 관한 관심은 증가하지만, 이것을 해결할 방법은 기존의 체계에서 보이지 않음에 따라 이에 대한 대안으로서 사회적 경제, 사회적 책임, 사회적 투자 등이 떠올랐으며 이러한 사회적인 활동들이 추구하는 것이 궁극적으로 사회적 가치라고 할 수 있음
‘사회적 가치’ 발전의 역사와 특성
• 사회적 가치에 대한 논의는 1960년대 이후 ‘삶의 질’ 논의를 시작으로, 1987년 이후 ‘지속할 수 있는 발전’ 및 ‘사회적 경제’ 논의를 거쳐 사회적 문제 해결과 가치실현 이상의 ‘사회적 가치측정 및 평가’ 단계까지 발전되어 옴
• 사회적 가치의 특성이 공동체를 향하는 가치라는 측면에서 공공성을 띠며, 사회 구성 주체에 의해 구성되는 유동성이 있고, 개인을 넘어 공동체를 지향한다는 점에서 다양성을 내포하고, 다양한 개인들이 공존하는 공동체에서 형성되기 때문에 상대성과 갈등 유발성이라는 성격을 가지며, 이에 더해 사회적 가치는 대응성과 적실성을 내포하고 있음(소용한, 2017)
친환경 관련 최근의 글로벌 흐름 - 바이든 행정부 파리협정 이행 복귀 서명 - EU 탄소 국경세 도입 예정 - 블랙록 화석연료로 25% 이상의 수익을 올리는 기업을 투자 포트폴리오에서 제외 선언 - 전기차 시장의 급성장 - 노르웨이 국부펀드가 포트폴리오에서 한국전력 제외 - 여러 국가가 2030~2035 사이 내연기관 차량 판매 금지 - 글로벌 RE100 기업들이 자사에 납품하는 협력사들에 RE100 요구 (ex. 애플이 공급망 기업들에 RE100 요청)‘사회적 가치’ 발전의 역사와 특성
* RE100은 `재생에너지(Renewable Energy) 100%`의 약자로, 기업이 사용하는 전력량의 100%를 2050년까지 지 풍력·태양광 등 재생에너지 전력으로 충당하겠다는 목표의 국제 캠페인

지속가능한발전 개념
개념
• 지속 가능한 발전의 정의는 매우 다양함
• 그중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알려진 정의는 1978년
Brundtland Report에서 등장한 것으로 “지속할 수 있는 발전은 미래 세대가 필요를 충족할 능력을 해치지 않는 한에서 현재 세대의 필요를 충족시키는 것이다.”라 고 명시됨
• 미국 Columbia 대학의 Jeffery Sachs는 “지속 가능한 발전이란 사회적 통합, 환경적 지속가능성과 함께하는 경제적 발전을 의미한다.”라고 밝힘
국제적 배경
• 1962년 레이철 카슨이 출간한 "침묵의 봄(Silent Spring)”
• 1972년 로마클럽이 발간한 "성장의 한계(The Limits to Growth)”, UN의 "인간환경선언(스톡홀름선언)"과 `유엔환경계획’
• 1987년 브룬트란트 보고서 "우리 공동의 미래“
• 1992년 리우회의(UNCED)와 ‘리우선언’, ‘의제 21(Agenda 21)’
• 2000년 유엔 새천년 정상회의와 `새천년개발목표(MDGs)’
• 2002년 지속가능발전세계정상회의(WSSD)와 `요하네스버그 선언’
• 2012년 리우+20 정상회의(UCSD)와 `우리가 원하는 미래`, `녹색경제’
• 2015년 제70차 유엔총회와 `지속가능발전목표(SDG)`







지속가능한발전의 스펙트럼
Pollution Control(오염방지)
• 환경문제를 고려하지 않는 것은 아니지만 성장을 저해하거나 성장보다 더 높은 우선순위를 가져서는 안 된다는 뜻
• 이 입장의 기저에는 인류가 기술 진보를 통하여 환경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음을 전제함

지속가능한발전의 스펙트럼
q Weak Sustainable Development(약한 지속가능성)
• 자본주의적 성장을 중심에 두고 환경문제에 대한 고려를 통합하려는 관점
• 자연도 하나의 자본이며, 자연 자본(Natural Capital)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경제 성장이 필요함
q Strong Sustainable Development(강한 지속가능성)
• 환경문제가 경제 성장보다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처지
• 자연은 단순히 경제 성장을 위한 자원이 아니라 인류가 살아가는 터전이며, 기반이기 때문에 단순히 기술 발전의 롤 대체될 수 없음을 주장함
q Ideal Approach(이상적 이론)
• 사회 전반에 걸친 구조적인 변화가 필요
• 이상적 이론에서는 지속할 수 있는 발전(Sustainable Development)이라는 용어 자체가 모순이라고 주장함
• 성장과 지속은 양립 불가능한 단어
• 경제적 성장을 강력하게 제한하고 자연과 공존할 수 있는 사회를 만들어야 함

4주차 과제

 이번 주 과제는 환경보호를 위한 환경파괴 무엇이 문제인가에 대한 견해를 제출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경보호를 위한 환경파괴 무엇이 문제인가에 대한 저의 견해는 “최악이 아닌 차선을 지향해야 한다.” 처음 얘기하고 싶은 것은 사람이 집에만 있으니 환경오염이 줄어들었습니다. 환경오염의 주범은 저희 인간입니다. 주요 에너지원으로 이용했던 석탄, 석유, 가스, 두말할 것 없이 환경을 오염시키고 있습니다. 원자력은 엄청난 위험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폭탄을 떠안고 있는 것과 다름이 없습니다. 그리고 원자력은 방사성 폐기물을 배출합니다. 이것은 기체화시켜 방출하거나 액체화시켜 방류하거나 고체상태에서 메웁니다. 이렇게 되면 공기 중으로 환경을 오염시키고 마시는 물을 오염 시키며 땅을 오염 시킵니다. 태양광 패널을 씻는 세척제를 친환경 성분으로 만드는 게 방사선을 친환경 성분으로 만들기보다 어려울까요? 그리고 폐 태양광 패널에는 희토류 등 자원이 되는 물질이 많습니다. 충분히 기술력을 발전시키면 재활용시키는 기술을 개발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태양광 패널을 대기권 밖으로 띄워서 전기를 공급받을 수 있는 기술도 개발하고 있습니다. 그렇게 되면 면적을 많이 차지한다는 고정관념에서 벗어날 수 있습니다. 그렇기에 좀 더 나은 기술인 차세대 에너지원인 태양광을 이용해야 합니다. 사람들은 항상 실수합니다. 하지만 실수를 통해 얻을 수 있는 것은 조금 더 나아지는 것입니다. 환경문제도 마찬가지입니다. 한 번에 180도 바뀔 수 없다는 것을 우리는 명심해야 합니다. 그리고 조금 더 덜 오염시키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