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강의들을건대4학년1학기/세계시민교육

세계시민교육 12주차

by 공부해열 2024. 7. 2.

평화교육

1평화란?
-누구도 강요나 억압을 받지 않고 자신의 자유롭고 독립적인 판단에 따라 행동하고 원하는 것을 얻을 수 있는 상태를 평화라고 합니다.
-폭력은 나로부터 시작하여 타인, 공동체, 셰계로 확장되는 다양한 관계에서 누군가의 생존, 생활, 성장의 존엄성이 지켜지지않는 사태로 물리적 폭력, 구조적 폭력, 문화적 폭력 등이 있습니다.
-칼퉁은 소극적 평화와 적극적 평화를 구분했는데 소극적 평화는 신체에 가해지는 직접 폭력이 없고, 인간의 생명과 안전을 보장하고, 전쟁이 없는 것을 말합니다. 적극적 평화는 직접적, 구조적, 문화적 폭력이 없는 상태를 말합니다.

2세계시민교육으로의 평화교육
평화교육은 거시 미시차원을 아울러 갈등과 폭력의 문제에 대한 대응방법의 학습으로 전쟁, 폭력, 빈곤, 억압 및 차별 등에서 비폭력적인 방법으로 사회적 개인적 태도와 가치의 변화를 가져오며 정의가 있고 살 많한 미래를 만들어가는 방법을 모색하는 교육입니다.
-평화교육의 목표는 평화, 비평화에 대한 차이와 지식을 배우고 갈등상황을 협력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평화적 실천 능력과 습관을 기르는 것으로 비평화 상태에 대해 비판적으로 인식하고 평화적 감수성을 길러야 하며 갈등해결 기술과 능력을 갖추어 실생활 속에서 평화를 실펀할 수 있도록 해주어야 합니다.
-난민이란 전쟁 테러로 인해 발생하는 박해, 빈곤, 굶주림 등을 피해 거주지에서 다른 나라로 탈주하는 사람을 의미
-유엔 난민 기구는 1949년 12월 3일 유엔 총회에서 창설 하였습니다. 난민을 보호하고 난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제적인 조치를 주도하고 조정하는 역할입니다. 유엔 난민기구는 1964년 1981년 두 차례 노벨 평화상을 수상하였습니다.

3세계시민교육으로 바라본 통일교육
-통일교육은 우리가 사는 한반도라는 특수한 환경에서 다루어지고 있으며 독특한 구조와 내용을 담고 있으며 통일 주체들이 통일과 관련된 문제들을 이해하고 통일 미래를 준비할 수 있도록 교육하는것입니다.
-세계시민교육으로의 통일교육을 통해 차별적이고 편견적인 통일교육이 아닌 모두를 위한 통일교육이 이루어지는 데 기여하고, 세계시민으로서 통일을 바라볼 수 있게 만드는것이 통일 교육입니다.
-한반도가 통일을 해야하는 이유는 동아시아 공동체 전체의 유익을 가지고 올 수 있습니다.
-이미 통일된 독일을 보면 보이텔스바흐 합의가 있는데 1976년 서독의 보수와 진보를 망라하는 교육자와 정치가, 연구원 등의 학자들이 독일의 소도시인 보이텔스바흐에 모여 정립한 교육지침으로 서독의 좌우 진영을 대표하는 학자들의 토론으로 결정된 합의 입니다. 이념과 정권에 치우치지 않는 교육을 목표로 교육 지침과 정치교육의 원칙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원칙은 다음과 같습니다. 1지식의 주입 금지 원칙, 2교실 내에서의 논쟁성 재현의 원칙, 3정치적 자유 안내의 원칙 입니다.

'강의들을건대4학년1학기 > 세계시민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계시민교육 14주차  (0) 2024.07.02
세계시민교육 13주차  (0) 2024.07.02
세계시민교육 11주차  (0) 2024.06.05
세계시민교육 10주차  (0) 2024.05.26
세계시민교육 9주차  (0) 2024.05.14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