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강의들을건대4학년1학기/세계시민교육

세계시민교육 13주차

by 공부해열 2024. 7. 2.

세계유산교육
1세계유산이란?
-선조로부터 물려 받은것을 유산이라하며 현재 우리가 살고 있고 미래 세대에게 물려주어야 할 자산입니다. 자연유산과 문화유산 모두 다른 어느 것으로도 대체할 수 없는 우리들의 삶과 영감의 원천입니다.
-1972년 세계유산 협약에 의해 세계유산위원회가 인류 전체를 위해 보호되어야 할 가치가 있다고 인정하여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록된 문화제를 세계유산이라고 합니다.
-세계유산은 문화유산, 자연유산, 복합유산 등으로 구분됩니다.
-문화유산은 탁월한 보편적 가치를 지닌 기념물 건물군, 또는 미학적, 민족학적, 인류학적 관점에서 탁월한 보편적 가치를 지닌 유적지 등을 말합니다.
-자연유산은 지구의 진화 단계를 나타내거나 초자연적 자연현상, 지질학적, 생물학적 진화나 인간과의 상호 관련성을 자아내는 뚜렷한 현상 또는 멸종위기의 동식물을 포함한 생물학적 다양성을 보존하기 위한 자연 서식지 등을 말합니다.
-복합유산이란 자연유산과 문화유산을 함께 보유하고 있는 유산입니다.

2세계유산교육과 세계시민교육과의 관계
-셰계유산교육의 필요성은 인류의 역사와 보편적 가치, 인간의 삶의 환경, 그리고 인류 문화의 다양성 등을 이해하고 실천하도록 하는 교육입니다.
-후대에 학습자로 하여금 세계유산의 가치와 보존의 필요성을 충분히 인식시키고 지역, 국가, 세계적인 차원에서 유산을 보호하는 데 참여시켜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배향하고 자문화 정체성을 찾고 공동 유산의 보편적 가치와 의미를 인식하고 생태학적, 문화적 다양성을 인식하는 기회를 제공하는 목적으로 세계유산교육이 진행됩니다. 더불어 인지적 영역, 사회정서적 영역, 행동적 영역의 교육으로 체계화 되어 있습니다.
-자국 문화유산의 우수성과 다른 나라의 문화 유산의 우수성을 함께 학습함으로 인류가 서로 연계 되어 상생하며 발전해 왔고 미래에도 그래야하는 것으로 세계시민교육과 세계유산교육의 연결점을 찾을 수 있습니다.

3한국의 세계유산
-한국의 세계 유산 목록을 보면 1995년 해인사 장견판전, 종묘, 석굴암과 불국사 등이 등제되었고 1997년 창덕궁, 수원화성 등이 등제 되었습니다. 그리고 2000년 경주역사유적지구, 고창 화순 강화 고인돌 유적이 등제 되었고 2007년 제주 화산섬과 용암동굴, 2009년 조선 왕릉, 2010년 한국의 역사마을인 하회와 양동, 2015년 백제역사유적지구, 2018년 산사, 한국의 산지 승원 등이 세계유산으로 등제 되었습니다.

'강의들을건대4학년1학기 > 세계시민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계시민교육 15주차  (1) 2024.07.02
세계시민교육 14주차  (0) 2024.07.02
세계시민교육 12주차  (0) 2024.07.02
세계시민교육 11주차  (0) 2024.06.05
세계시민교육 10주차  (0) 2024.05.26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