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주 차 강의는 3S+1P, 디지털 전환, 스마트공장 등에 대해 배웠습니다.
3S+1P는 스마트화, 서비스화, 친환경화, 플랫폼화입니다. 스마트화는 사물, 사람, 제품, 서비스 등이 파괴적 기술과 접목하는 것입니다. 서비스화는 제품단위에서 제품과 서비스 중심 비즈니스 모델 전환 가속화한 것을 말합니다. 친환경화는 온실가스를 감축하기 위해 환경규제가 생기면서, 저탄소 친환경 신산업이 창출되었습니다. 플랫폼화는 다수의 제품과 서비스를 서로 연결하고 통합하는 매개체로서 플랫폼 경쟁 본격화되었습니다. 이것이 4대 메가트렌드입니다.
스마트 적용사례로는 스마트팜이 있습니다. 비닐하우스, 유리온실, 축사 등에 ICT를 접목하여 원격, 자동으로 작물 또는 가축의 생육환경을 적정하게 유지 및 관리할 수 있는 농장입니다. 스마트 온실, 스마트 과수원, 스마트 축사 등이 스마트팜에 속합니다. 서비스화의 적용사례로는 ’ 오상헬스케어‘라는 당뇨 측정기 제조회사의 제품으로 개인맞춤형으로 건강관리를 해주는 서비스를 만들었습니다. 친환경은 스타벅스의 종이빨대를 예시로 들 수 있습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종이 빨대는 별로예요 나중에 흐물흐물해지기 때문입니다. 플랫폼화의 사례는 ’ 애어비앤비‘가 있습니다. 공유경제와 플랫폼의 좋은 예시입니다. 공유경제는 화폐가 매개되지 않는 교환으로서 자신의 소유물을 타인과 함께 사용하거나 주는 것입니다. 플랫폼기업은 서로 구분되는 두 집단, 즉 양면시장을 연결 및 거래가 가능해져 두 집단의 탄력성과 외부성을 고려하여 수수료를 부과하여 수익창출을 해야 합니다.
디지털 전환은 디지털 파일로 변환, 디지털환경을 위한 기존 비즈니스 프로세스 재배치, 디지털 역량으로 시장의 파괴적 변화 등의 순으로 전환이 됩니다. 사례로는 사이렌오더 매장 내 주문이 아닌 어플로 주문하는 것입니다. 은행을 가지 않아도 은행업무를 볼 수 있는 인터넷뱅킹, 종이책 대신 전자책 등이 있습니다. 디지털전환을 위한 핵심요소는 현장지식, 접근법, 신기술입니다. 자동차 산업의 변화에도 디지털 전환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아날로그일 때는 보다 세련되게, 보다 빠르게, 보다 높은 배기량 등이 위주였고 다음으로는 보다 안전하게, 신재생에너지 활용, 보다 높은 연비에서 디지털 전환으로 자율주행, 생체인식센서, 엔터적요소등이 차에 적용되고 있습니다. 할리데이비슨은 과거 21일 걸리던 생산구조를 자동화로 인해 6시간 만에 생산이 가능해졌습니다. 코로나로 외출이 자제되는 상황이 오면서 디지털 전환 기업은 엄청난 호황이 나왔고 더욱 디지털전환 기업이 성장하게 되었습니다.
'강의들을건대 3학년 1학기 > 스마트공장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마트공장개론 6주차[5G, 클라우드, 데이터] (0) | 2023.04.11 |
---|---|
스마트공장개론 5주차[ICT, IOT, 스마트] (0) | 2023.04.04 |
스마트공장개론 4주차[자동화, 데이터, 자본주의] (0) | 2023.03.28 |
스마트공장개론 2주차 (0) | 2023.03.16 |
스마트공장개론 1주차 (0) | 2023.03.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