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강의들을건대 1학년 1학기/신산업융합개론

신산업융합개론 12주차

by 공부해열 2021. 5. 22.

이번강의는 신산업융합개론 12주차 입니다.

오늘 토론 주제는 비트코인은 화폐인가 입니다.

결론: 4:1 비투코인은 화폐가 아니다.
p: 화폐는 가치척도를 가져야하는데 계속 올랐다 내렸다 변동성이 심하다는 문제가 있다.
k: 물물교환에서 발전된 것이 화폐임 화폐라는 것에 집중해서 생각해보면 화폐는 신용성과 보증이 되어있기 때문에 비트코인도 동일하게 신용성과 보증을 가진다.
h: 세계적으로 디지털 화폐 준비, 화폐로써 가치를 가질 수 있다.
c: 교환의 매개체로 이야기 하는데, 비트코인은 좀 제한적임 일상생활에서 전반적으로 사용하기엔 인프라가 부족한 슈퍼마켓에서 코인으로 물건 사는것에 대해 가능성이 없다는건 아니지만 굳이 코인을 써야할까 라는 생각이 있음
k: 비트코인의 인프라에 대해 이야기를 해보자면 비트코인은 화폐의 가치를 갖기위해 시작된 암호화폐이기 때문에 아직 인프라 때문에 화폐의 가치가 없다고 하긴 어렵다
나: 비트코인은 결국 결제가 되는데 3~5분 정도 걸림. 결제 수단으로 사용하기에
부족함이 있다. 현재 다른 코인들이 비트코인 말고도 많이 있다. 비트코인은 자산으로서의 희소성 때문에 자산으로서는 인정되나 결제 수단으로는 인정 되기 어렵다.
h: 테슬라에서 한시적이기는 하지만 비트코인을 화폐로서 이용 화폐가 맞다는 실사례이다.
나: 비트코인으로서의 결제수단을 포기를 한 이유가 환경파괴적인 이유에서 일론머스크가 포기했기 때문이다. 코인 채굴에 필요한 에너지, 환경파괴가 심각하기 때문에 앞으로도 비트코인을 결제수단으로 중용하긴 어려울 것.
p: 코인이 거래되고 있는 상황은 거래소에서 등락을 반복하고 있는 상황이다. 금, 부동산과 같은 자산 투자로 보고 계속 거래는 진행되고 있지만 비트코인이 화폐로서의 기능을 갖게 된다면, 정부의 역할이 퇴색된다. 비트코인이 화폐로인정되면 경제적 통제가 불가능하다는 것임. 그렇기 때문에 비트코인은 화폐로서 사용 불가하다.
h: 각국 중앙은행들이 결국 디지털 화폐를 준비하고 있다. 이것이 비트코인이 화폐라는 반증 이다.
p: 비트코인과 디지털 화폐는 애초에 만들어 질 때 다른 목적으로 만들어짐 비트코인의 제작자는 무정부론을 주장하던 사람이고 중앙 은행없이 사용되는 화폐를 원하고 만들었음
h: 테슬라의 선례 처럼 다양한곳에서 화폐로 이용하려는 시도가 늘고 있다.
나: 비트코인은 블록체인 기술을 세상에 알린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함. 하지만 비트코인의 단점을 완충해줄 다른 코인이 많기 때문에 차라리 화폐로서 이용하기에는 다른 코인을 이용하면서 비트코인은 점점 잊혀질것입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