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강의들을건대 2학년 1학기/대화의지혜와기법15

대화의지혜와기법 7주차 7주 차에는 의사소통구조를 다루었습니다. 내용으로는 순서 교대, 대화의 중복, 대응 쌍, 대화의 조직 등을 배웠습니다. 순서 교대 화자와 청자가 차례로 말은 하는 교대가 나타납니다. 순서 교대 작용 기본적 원리 1. 대화에 참여한 모든 사람은 말할 기회를 가져야 한다. 2. 순서 교대의 차례는 사전에 결정된 것이 아니다. 3. 순서 교대는 대화의 중복이나 대화 중단 없이 일어나는 것이 보통이다. 4. 중복이 일어난 대화나 말하는 도중에 누가 끼어들어서 간섭을 받은 대화에는 고정장치가 작동됩니다. 5. 한 사람이 말할 때 대화의 길이도 사전에 결정되어 있지 않습니다. 6. 대화는 연속적일 수도 있지만, 비연속적일 수도 있습니다. 대화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누가 언제 말할 것인가를 결정하는 기술입니다. 배당.. 2022. 4. 18.
대화의지혜와기법 6주차 6주 차에서는 의사소통과 대화, 의사소통의 원리에 대해서 배웠습니다. 세부적인 내용은 대화의 의미, 맥락, Grice의 대화 원리 등입니다. 대화의 의미 발화는 대화를 이루고 있는 맥락에서 완결된 작은 단위입니다. 예를 들어 이 전기자전거 댁의 거예요? 등입니다. 문장이 그 차제에 뜻을 가지고 있듯 발화도 그 자체로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맥락 맥락은 대화를 할 때 이루어지는 사고를 맥락에 의존시키고, 맥락 안에서 움직이게 됩니다. 예를 들어 A:지금 당장 이 업무 처리할 수 있나요? B: 저, 급한 업무가 있는데요? A: 그럼 내일은 어때요? 등의 구조를 맥락이라고 합니다. 맥락 효과란, 한 사람이 가지고 있던 기존의 개념에 새로운 정보가 가해짐으로써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자기가 가지고 있던 기존 정보.. 2022. 4. 8.
대화의지혜와기법 5주차 5주 차는 zoom을 통한 화상 실시간 강의를 했습니다. 발표자들이 준비해온 과제를 PPT로 발표하는 것이었습니다. 내용은 "언어적 의사소통. 다른 동물들의 의사소통 방법에 대해서 찾아본 후, 인간의 의사소통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비교해 봅시다."입니다. 발표 내용 중 흥미로웠던 건 인간과 동물의 의사소통이 다르다는 것인데요 수업을 마무리한 후 저는 문득 그런 생각이 들었습니다. 지능적? 차원적? 문제가 아닐까라는 생각입니다. 우리가 개미를 볼 때 아주 생각도 없이 그냥 일만 하는 것 같은데요, 사실 개미의 세계는 그리 단순하지 않습니다. 개미와 꿀벌은 "초개체"라는 말을 쓰는데요 이것은 하나의 개체 집단이 마치 인간의 내부 장기들처럼 유기적으로 움직이는 것을 뜻합니다. 그만큼 개미는 뛰어난 협력 공동.. 2022. 4. 1.
대화의지혜와기법 4주차 4주 차에는 비언어적 의사소통을 주제로 다루었는데요 그 내용은 음성언어와 동작 언어, 동작 언어의 종류인 본능적 기호적 주변 언어적 동작 언어 등이 있고 동작 언어의 유형인 목소리 얼굴 표정 눈 몸짓 행동 근접거리 등이 있습니다. 음성언어와 동작 언어 우선 사람들이 서로 의사소통을 전달하는 정보의 양은 학자들 마다 조금씩 다르게 주장했는데 대체적으로 동작 언어가 음성 언어보다 더 전달량이 많은 것으로 얘기했습니다. Birdwhistell(1952)이라는 인물은 동작 언어 65~70%, 음성언어 30~35% 라고 했습니다. Mehrabian(1972)은 동작 언어 93%(시각적 요소 55%, 청각적 요소 38%), 음성언어 7%라고 했습니다 동작 언어의 종류 본능적 동작 언어는 자극에 대한 반응으로 자동적.. 2022. 3.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