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가정신과벤처창업 과목은 총 4가지 파트로 나누어서 학습하게 되는데요 첫번째는 '4차 산업혁명시대의 창업환경'에 대해 배우게 되고 두번째는 '기업가정신과 벤처기업가'에 대해 배웁니다. 세번째는 '창업준비와 실행'을 배우게 됩니다. 네번째는 '창업기업의 경영'입니다. 학습내용은 제가 아주 좋아하는 내용이라서 기대가 됩니다.
그리고 오늘은 교수님이 정해놓은 4가지 part중 part1의 ch 1,2에 대해 다루었습니다.
ch1.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도래와 창업
4차 산업혁명의 핵심기술 :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로봇공학, 3D프린팅, 빅데이터, 자율주행차, 가상현실, 드론
4차 사업혁명으로 인한 산업구조 변화 : 제조공정의 혁신, 스마트공장 확산, 제조의 서비스화, 제품 및 자본재 수요감소와 고용구조 변화, on-Demand Economy(플랫폼과 기술력을 가진 회사가 수요자의 요구에 즉각적으로 대응하여 서비스 및 제품을 제공하는 경제 전략 **플랫폼기업은 수요자와 공급자를 위해 중개 해주는 역활의 비즈니스 모델)
4차 산업혁명의 전망 : 긍정적 전망, 부정적 전망, 독과점, 기술적 실업, 기계의 반란
4차 산업혁명의 대비책 : 4차 산업혁명의 본질 이해 및 변화에 대비,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술시장 선점, 4차산업혁명에 요구되는 노동 및 기술의 원활한 공급, 공유경제 및 온디맨드 경제 등의 새로운 기술기반 플랫폼 사업에 대한 사업모델 수립, 기업가정신 함양 및 창업 인프라 확대
코로나-19 이후의 변화 : digital transformation(디지털 트랜스포매이션은 클라우드 기반의 정기구독 방식의 모델이다. EX : 마이크로소프트)의 진전, 글로벌 가치사슬(글로벌 가치사슬은 상품과 서비스의 설계, 생산, 유통, 사용, 폐기 등 전 범위에 이르는 기업의 활동이 운송 및 통신의 발달로 인해 세계화되는 것을 의미한다.) 변화 가속화, 국가/기업/가계의 부채 증대로 인한 중장기 저성장 기조 고착화와 경제위기 가능성 증대, 큰 정부 시대 도래와 정부/ 중앙은행 역할 증대, 안전 위생 환경에 대한 관심 증대
ch2. 벤처창업 생태계론
창업의 의의
-기업가의 능력을 갖춘 개인이나 집단이 사업아이디어를 가지고 사업목표를 정하고 적절한 사업기회에 자본, 인원, 설비 등 경영 자원을 투입하여 재화를 생산하거나 용역을 제공하기 위하여 기업을 설립하는것
-재화나 용역을 생산하거나 판매하는 사업을 시작하기 위하여 이제까지 존재하지 않던 새로운 기업조직을 만드는 행위
스타트업
-기성의 틀에서 벗어나 시도를 통해 가치를 만들고자 하는 신생기업
-스타트업의 세부기준 : 1. 이제 막 사업을 준비하고 시작하는 기업으로 현재의 가치보다 미래의 가치로 평가 받을 큰 잠재력과 성장성을 갖춘 기술 중심 회사 2. 기술이 중심이거나 구현하는 데 있어서 기술이 큰 역활을 차지하는 업체 3. 시장에 출시할 제품이나 서비스를 기획하고 개발하는 과정에 있고 시장에서 인지도를 얻기 이전의 단계에 있으며, 시장을 탐색하고 시장에서 자신의 제품과 서비스의 포지셔닝을 열심히 찾는 단계
벤처기업
-신기술이나 노하우 등을 개발하고 이를 기업화하여 사업을 하는 창조적인 기술집약형 기업
-모험사업, 펌단기술소기업, 신기술기초기업, 첨단기술사업, 신모험기업 등으로 명명
-벤처기업의 주된 특성 : 소수의 기술 창업인이 기술혁신의 아이디어를 상업화하기 위해 설립한 신생기업, 높은 위험부담이 있으나 성공할 경우 매우 높은 기대이익 예상, 모험적 사업에 도전하려는 기업가 정신을 가진 기업가에 의해 주도
창업의 구성요소(창업자)
미래에 대한 통찰력과 판단력, 사업기회에 대한 창의력과 추진력, 도전정신과 모험정신, 성취욕구와 독립욕구, 경영능력과 리더십, 윤리의식과 사회적 책임의식, 열정과 인내심
창업의 구성요소(사업아이디어)
-사업 아이디어를 제품이나 서비스로 전환하고 기업을 운영하는데 필요한 금전적 자원(기술, 토지, 건물, 기계설비, 부품, 원재료 등을 포함)
-창업요소 중 가장 중요한 비중을 차지
-사업 아이디어를 구체적으로 제품화 하는데 필요한 기술이나 자원 등을 조달하는데 사용
-창업자금의 조달원천은 대체로 70% 대 30% 법칙이 적용 즉, 창업시에 자기자본과 타인자본의 비율이 7:3이 이상적
-창업의 초기에는 타인자본의 조달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창업자의 자지자본에 의존할 수 밖에 없음
창업과정 : 1.창업 목표설정, 2.창업 환경분석. 3.아이디어의 탐색과 사업기회 인식, 4.사업의 타당성 분석과 사업계획의 수립, 5.창업기업의 설립 및 운영
창업 생태계(Entrepreneurial Ecosystem)란?
- 창업자, 대학/멘토/인큐베이팅 등의 창업 지원기관 : 엔젤/벤처투자/투자은행 등의 투자자가 상호 유기적으로 작용하여 창업이 지속적으로 활성화되는 환경
- Ecosystem
- Ecosystem of Business
- Entrepreneurial Ecosystem
- Venture Entrepreneurial Ecosystem
벤처창업의 생태계의 의의
1.벤처는 주인의식과 고유성을 가진 자발적 주체로써 환경에 기민하게 반응하는 유기체 이며, 생존 이익창출에 대한 욕구와 활발한 성장, 진화, 융합, 분화 등 자기증식을 특성
2.시장원리와 적자생존에 철저하고 이합집산을 통한 창조적 갈등을 지속적으로 진행
3.대내외 개방 및 느슨한 연결 네트워크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기술획득과 자우너 조달에 강점
4.개인 또는 집단들이 아이디어, 사업기회 창줄, 자금, 경영지원 등과 관련하여 각자 핵심역량을 갖고서 시너지를 만들어 내고 위험과 성과를 배분
5.변화를 지향하고 지식을 공유하며 실패에 관대하고 행동과 극한을 추구하는 문화
벤처창업 생태계 모형
1) 벤처생태계 트라이앵글, 창업가, 투자자(엔젤,벤처캐피털), 자금회수시장(M&A, IPO)
2) 벤처기업군의 배태조직의 역할을 담당하는 대학, 연구소·기업 등의 연구개발·영업활동을 통하여 기업가들이 지식을 축적하여 끊임없이 벤처기업군으로 유입
3) 자금회수시장은 자기조직화 기능을 담당
4) 벤처생태계 환경은 제도적 환경, 소비시장 등으로 구분
벤처창업 생태계 구성요소(생산자)
- 예비창업자 : 1년 미만의 사업자
- 창업기업 : 사업을 개시한 날부터 7년이 지나지 않은 기업
- 벤처기업 : 창업기업이 일정규모 이상 성장하게 되면 벤처기업으로 등록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지속성장을 위한 정부의 각종 지원혜택을 받을 수 있음
벤처창업 생태계 구성요소(소비자)
- 3F : Family, Friends, Foolish fellow
- 엔젤(Angel) : 3F와 전문화된 외부투자자인 벤처캐피털의 중간을 이어주는 역할
- 벤처캐피털(VC: Venture Capital) : 정부나 기관투자자, 해외자본 등이 재무적 이익을 목적으로 설립한 창업투자회사
- 기업형 벤처캐피털(CVC: Corporate Venture Capital) : 대기업이 주체가 돼 전략적 이익 추구
- 창업보육센터(BI: Business Incubator) : 임차인의 시설공유, 컴퓨터, 지원직원, 통신장비 및 청소서비스를 포함한 지원서비스를 통해 개발 및 창업기업을 지원하는 곳
- Accelerator : 벤처기업인이 축적한 경험과 노하우, 자금,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후배 벤처기업의 성장을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창업기업의 성공을 가속화 시키는 역할을 수행
벤처창업 생태계 구성요소(분해자)
- M&A(Merger & Acquisition) : 기업인수 합병
- IPO(Initial Public Offering) : 기업공개
- 지분매각
선순환 벤처창업 생태계
- 기술을 가진 예비창업자가 창업하여 벤처기업으로 성공하고, 집적지를 이루어 산업클러스터를 형성하며,또 다시 새로운 창업을 촉진하는 구조
- 벤처창업 생태계 선순환 단계
1.창업단계 : 투자중심의 자금조달, 2.성장단계 : 우수인력의 벤처기업 유입, 3.회수단계 : M&A시장의 활성화가 엔진역할, 4.재도전단계 : 도전과 재도전이 가능하도록 제도적 뒷받침
선순환 벤처창업 생태계 조성제도 해외사례
① 스타트업 칠레(Start-up Chile) 프로그램
- 선발 절차를 거쳐 국적에 관계없이 창업자금 및 비자를 지원
- 칠레는 전세계에서 FTA를 가장 많이 체결한 글로벌 개방성이 뛰어난 국가
② 규제 샌드박스(Regulatory Sandbox)
- 신산업 · 신기술 분야에서 새로운 제품과 서비스를 내놓을 때 일정기간 기존 규제를 면제 하거나 유예시켜 주는 제도
- 영국에서 핀테크 산업 육성을 위해 처음 시작, 싱가포르, 일본에서 도입
③ 암호화폐 도시(Crypto Valley) 스위스 주크시
- 법인세를 낮추고 규제를 없애고 창의적인 인재를 공급해 주는 비즈니스 친화적 환경 조성
- 인구 12만4천명의 주크시에 글로벌 블록체인 회사 250개가 들어서면서 금융, 정보통신기술, 사업서비스, 국제회의, 교육, 관광도시로 혁신
스타트업(Startup) 생태계의 새로운 변화(1)
① 엑셀러레이터(accelerator)
- 법인 및 개인투자자로부터 자본을 투자 받아 스타트업에 대하여 지분투자와 멘토링/교육을 제공하고, 이에 대한 대가로 회사의 지분을 취득
- 이후 시장에 성공적으로 안착한 졸업 스타트업을 대상으로 지분매각과 배당을 통해 투자금을 회수하게 되는 비즈니스 모델
- 이들은 초기투자 뿐만 아니라 사업의 파트너로서 참여하여, 스타트업이 가질 수 없는 경험과 노하우, 그리고 수요처를 연결하여 시장진입을 원활히 할 수 있도록 지원
② 린스타트업(lean start-up)
- 아이디어를 빠르게 최소요건제품 MVP(minimum viable product)로 제조한 뒤 시장의 반응을 통해 다음 제품 개선에 반영하는 전략
- 실리콘밸리의 벤처사업가 에릭 리스(Eric Ries)가 자신의 사업경험을 바탕으로 벤처기업의 성장을 돕기 위해 새롭게 고안한 방법
③ 유니콘(unicon) 기업 현상
- 기업가치가 10억달러(1조원) 이상인 비상장 스타트업 기업
- 미국의 우버, 에어비앤비, 핀터레스트, 슬랙, 에버노트, 중국의 샤오미, 디디추싱, DJI, 한국의 쿠팡, 넷마블 등
'강의들을건대 2학년 1학기 > 기업가정신과벤처창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업가정신과벤처창업 6주차 (0) | 2022.04.13 |
---|---|
기업가정신과벤처창업 5주차 (0) | 2022.04.05 |
기업가정신과벤처창업 4주차 (0) | 2022.03.30 |
기업가정신과벤처창업 3주차 (0) | 2022.03.23 |
기업가정신과벤처창업 2주차 (0) | 2022.03.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