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주차는 시험입니다. 시험공부 내용을 포스팅 할 것 입니다. 우선 1문제에 10분 정도 할애 가능하게 6문제 1시간으로 시험이 진행됩니다. 핵심키워드 위주로 공부하면 된다고 합니다. 선순환 벤처창업 생태계, 기업가 정신, 기업가정신의 핵심요소, 기업가 정신이 중요해지는 이유, 기업가 정신의 본질, 창의성이란?, 개인 차원의 창의성 저해요인, 7Myths about Creativity, 트리즈의 핵심 3요소, Market Evolution Process, Incermental Innovation, innovation mangement, downsides of Incremental Innovation, Radical Innovation, disruptive innovation, 파괴적 혁신의 사례 등이 있습니다. 이제 각 항목을 공부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선순환 벤처창업 생태계
기술을 가진 예비창업자가 창업하여 벤처기업으로 성공하고 집적지를 이루어 산업클러스터를 형성하며, 또 다시 새로운 창업을 촉진하는 구조 입니다. 벤처창업 생태계 선순환 단계로는 창업단계(투자중심의 자금조달), 성장단계(우수인력의 벤처기업 유입), 회수단계(M&A시장의 활성화가 엔진역활), 재도전단계(도전과 재도전이 가능하도록 제도적 뒷받침)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기업가 정신
기업의 본질인 이윤추구와 사회적 책임의 수행을 위해 기업가가 갖추어야 할 자세나 정신입니다. 또 기업의 목표 달성을 위하여 위험을 감수하며, 지속적인 변화와 혁신을 추구하여 기업을 성장시키고, 더 나아가 국가 경제 발전에 이바지하고자 하는 마음가짐입니다. 그리고 entrepreneurship이란 용어를 처음 소개한 사람은 프랑스의 경제학자 라샤르 캉리용이 18세기 말 "경영자들의 도전적이고 모험적인 성향"이라고 정의 하면서 처음 사용되었습니다.
기업가정신 핵심요소
혁신성, 위험감수성 진취성, 적극성(성취욕구, 기회지향성), 자율성(독창성, 책임감)등이 있습니다.
기업가 정신이 중요해지는 이유
현재 사회는 지식사회로의 이행이 되고 있고 지식이 비즈니스 성공기회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새로운 기술과 서비스의 등장이 경제발전과 삶의 질의 향상에 기여합니다. 창의적인 사업화 의지나 행동이 비즈니스 성공에 중요합니다. 기업 설립을 통해 새로운 고용창출과 경제적 풍요의 토대를 마련합니다.
기업가 정신의 본질
창의에서 혁신으로 다음은 기업가정신으로 확대 되는 구조입니다. 먼저 창의는 새로운사고를 하는것이고 혁신은 창의과정에서 생긴 아이디어를 새로운행동을 통해 이행하는 것입니다. 행동이 축적되면 새로운 가치를 창조하게되고 이것이 기업가 정신입니다.(창의 -> 혁신 -> 기업가 정신)
칭의성
Creativity는 새로운, 독특한, 유용한 이라는 단어들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창의성은 창의적인 해결책 또는 능력(output)을 창조합니다. 창의적인 과정은 문제를 해결합니다.
개인 차원의 창의성 저해요인
정답을 찾으려는 경우가 있고 규칙에 맞게 해법을 찾으려는 자세, 실용성만 추구, 애매하고 모호한 상황을 회피하려는 자세 등이 있습니다. 실패를 두려워함, 일에 재미를 붙이지 못합니다, 자기 전문분야 외에는 무관심함, 자신이 창의성이 없다고 믿습니다.
7곱가지 창의성에 대한 근거없는 말
1. 창의성은 천재들이 필요하다는 말, 2. 창의적 산출물은 혼자서 만드는 것이라는 말, 3. 창의성보다는 지적 역량이 중요하다는 말, 4. 창의성은 관리할 수 없다는 말, 5. 창의성은 예술과 첨단기술에 필요하다는 말, 6. 창의성은 매우 중요한 일에만 필요하다는 말, 7. 창의성은 매우 새로운 아이디어에 필요하다는 말 등이 있습니다. 하지만 이말들은 편견이고 곧 스스로 제약하는 족쇄밖에 되지 못합니다.
트리즈
트리즌의 핵심 3요소로는 이상적 해결책(궁극적으로 추구하는 최종 목적), 모순(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목표, 목적), 자원(모순해결을 위한 수단, 도구)이있습니다. 모순에는 관리적 모순과 기술적 모순 또 물리적 모순이 있습니다. 관리적 모순은 기대가 현실을 초과한 상태 입니다. 어떤 상황에 대하여 불편함을 느끼는 형상이라고도 합니다. 기술적 모순은 하나가 좋아지면 하나가 나빠지는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그리고 관련된 원리로는 발명의 40가지 원리가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물리적 모순은 하나의 특성이 서로 다른 목표를 동시에 달성해야 하는 것입니다. 모순된 요구사항을 시간, 공가, 전체와 부분, 조건에 따라 분리함으로써 극복하게 됩니다. 그리고 물리적 모순에는 시간의의한 분리, 공간에 의한 분리, 전체와 부분에 의한 불리, 조건 분리, 등이 있습니다.
시장진화과정(market evolution process)
Functionality, Reliabillity, convenience, commodity 등이 있습니다. 시장 진화 과정 이론은 '제품 진화 모델'이라고도 하며, 제품이 시장에 출시되었을 때 구매자로부터 처음에 제품 선택이 이뤄지는 판단기준은 제품의 기능이 되는 경향이 많습니다. 2개 이상의 제품이 성능에 있어 시장의 니즈를 확실하게 만족 시킬 경우 소비자들은 이제 더 이상 제품의 선택기준을 기능성에 두지 않고, 신뢰성에 기초해서 제품과 판매업체를 선택하게 됩니다. 다음에는 경쟁기반이 편리성으로 전화되고 최종적으로 여러 경챙업체들이 시장의 수요를 완벽하게 충족시키는 편리한 제품및 서비스를 제공할 때 경쟁기반이 가격으로 전환하게 된다는 이론 입니다. 이와 같이 판단 기준, 즉 구매계층을 어느 한단계에서 다음 단계롤 이전하도록 만드는 중요한 요인을 "성능 과잉 공급"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성능 과잉 공급이 발생할 때 파괴적 기술이 등장하게 됩니다.
innovation managemrnt
예상치 못한 성공과 실패, 불일치는 변화의 징후, 잘못된 가정, 리듬 또는 논리상의 단절 등이 있고 기회는 혁신의 원천입니다.
Downsides of incemental innovation(점진적 혁신의 단점)
Beats up most of innovation resources(대부분의 혁신 리소스 활용) : Easy ot explain and to be approved(설명 및 승인이 용이함)
Bottom of innovation Pyramid(혁신 피라미드의 맨 아래) : Even successful but limited impact(성공했지만 영향은 제한적임)
Less sustainable and easy to be imitated(지속성이 떨어지고 모방하기 쉬움) : Need continuous investment(지속적인 투자 필요)
Narrow windows for the future(미래를 위한 좁은 창) : Strong commitment to current markets(현재 시장에 대한 강한 의지)
Avoid risky investments(위험한 투자 방지) : Easy to manage(관리가 용이함)
Is incremental innovation Real innovation(점진적 혁신은 진정한 혁신이다.)
점진적 혁신은 현재 시장 위치를 유지하고, 또 유지하기 위한 최소 요구사항이다. 그리고 다른 모든 기업들도 동일한 조치를 취한다. 점진적 혁신은 기존에 보유하고 있는 기술 제품을 활용해 향상시키거나 다른 목적으로 기술을 사용하는 것 입니다. 특징으로는 변경, 개선, 지속성 등이 있습니다. 적응과정에 착취적인 경향이 있습니다. 파급효과는 작지만 그대신 비용이 적게 듭니다. 확정적 이익이 보장됩니다. 시장에서 빠른 반응을 보입니다.
Radical innovation(급진적 혁신)
급진적 혁신은 새로운 기술 제품 등 기존과 다른 선택이나 기회를 찾아나서는 것입니다. 특징으로는 돌파구, 불연속성, 파괴적 등이 있습니다. 정응과정이 탐험적입니다. 파급효과가 큽니다. 비용은 많이 발생합니다. 이익은 불확실 합니다. 시장에서 반응은 느립니다.
Risk of Radical innovation
Necessary inputs for Radical innovatio
disruptive innovation(파괴적 혁신)
성숙된 시장에, 저가의 대체 상품이 등장하여 시장의 판도를 바꾸어 놓는 현상, 혁신적 제품은 대개 경쟁 상푸모다 품질이 다소 낮지만 몇몇 고객이 중시하는 획기적인 성능을 가진것이 특징입니다.
파괴적 혁신의 사례
'강의들을건대 2학년 1학기 > 기업가정신과벤처창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업가정신과벤처창업 10주차 (1) | 2022.05.10 |
---|---|
기업가정신과벤처창업 9주차 (0) | 2022.05.04 |
기업가정신과벤처창업 7주차 (0) | 2022.04.25 |
기업가정신과벤처창업 6주차 (0) | 2022.04.13 |
기업가정신과벤처창업 5주차 (0) | 2022.04.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