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강의들을건대 2학년 1학기/대화의지혜와기법

대화의지혜와기법 12주차

by 공부해열 2022. 5. 19.

12주차는 제가 발표하는것으로 끝났습니다. 그리 기말고사 문제 정리를하였습니다. 발표한 내용을 옮겨 적어 보겠습니다.

오늘 발표 주제는 의사소통과예절의 내용중 높임법의 잘못된 사례 주변에서 찾기입니다. 목차로는 높임법과예절, 잘못사용중인 높임법, 잘목된 높임법 사용이유, 해결방안으로 나누어 보았습니다. 먼저 높임법과 예절에 대해서 보겠습니다. 우리나라의 국어는 원래 옛날부터 동방예의지국인 우리 문화와 전통적인 정서가 언어로 형식화 된 것입니다. 요즘은 민주주의로서 만인평등의 핵가족사회에 살고있습니다. 그리고 그 속에서 높임법 또한 조금씩 변화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물론 좋은 방향으로 변화하기도 하지만 문법적으로맞지않게 변화하는 경우도 더러 있습니다.민주주의로 맞이한 평등사회속에서 위계와 윤리를 지키며 미풍사회를 회복하기위해서 올바른 높임법 교육이필요한 시대에 살고있는것같습니다.높임법 등 언어의 잘못된 변화를 막기위해 우리나라 정부는 1992년 표준화법을 만들어 공표하였습니다. 그리고 온고지신하여 새로운 시대에맞는 올바른 맞춤법을 쓰는 사회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다음은 예절에대해 얘기해보겠습니다. 예절은 사람의 가장기본적인 덕목입니다. 그리고 예의를 갖춘 바르고 공손한 사람은 품위있게 보입니다.의사소통에 있어서 예절이란 상대방을 존중하고 배려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높임법은 의사소통 예절의 기본이 됩니다. 때때로 예의를 보이고 싶어서 높임법을 사용하였는데 잘못된 사용으로 뜻이 변질되거나 상대방의 마음을 상하게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저는 의사소통에서 높임법을 잘알고 잘쓰는것이 예의있는 사람이되는 중요한 기본이라고 생각합니다. 다음은 잘못사용중인 높임법입니다많은 사례중 제주변에서 흔히 들을 수 있는 대표적인 사례 3가지를 적어 보았는데요 저도 이번에 높임법에 대해 공부하다보니 잘못사용하고있던 높임법이 있어서 그것도 적어 보았습니다. 첫째 있다와 계시다 등의 잘못된 사용으로 저의 선임이 저에게 공용책상에 놓여진 박스를 가리키며 이거 머야 왜여기있어 얼른 치워라고 하셨고 저는 “아 그거 이과장님께서 말씀이 계서서 거기에 놓았어요.”라고 말했습니다. 두번째 사례는 사람이 아닌 사물을 높이는 경우 입니다. 주로 옷이나 신발 매장에 가면 많이 들었습니다. 이 신발 사이즈가 좀 작은데 260미리 사이즈 똑같은거 있을까요?하고 물었더니 직원분이 고객님 죄송하지만 그 사이즈 말고 다른 사이즈들은 품절되셨어요..라고 답변을 받았습니다. 그리고 마지막 세번째사례는요 2번째 사례와 비슷한 맥락입니다. 옷가게에가서 옷을 입어보려고 피팅룸에 들어가는데 직원이 고객님 피팅룸 앞에 신발벗고 들어가실게요라고해서 신발을 벗고 들어간적이있습니다. 그럼 이 3가지 사례를 올바르게 쓰려면 어떻게 말해야하는지 그리고 왜그렇게 사용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첫번째 사례의 경우 말씀은 있다라고 표현해야하고 높이면있으셨다로 표현할 수있고 계시다라는 말은 그대상이 사람일때 쓰는 말입니다. 잘못된 간접높임 표현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두번째 세번째 사례는 사용이유가 비슷한 맥락이라서 묶어보았습니다. 두번째사례는 품절되셨어요가 아니라 품절됐어요가 맞습니다.또 세번째는 들어가실게요가 아닌 들어가세요 입니다. 이사례는 문법적으로는 어미 ㄹ게를 사용했기 때문에 잘못된것입니다. 어미 ㄹ게는 나 들어갈게 등 화자의 의지를 나타낼때 쓰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들어가실게요가 아닌 들어가세요 들어가시면 됩니다로 표현 하였어야 합니다.
이 두가지 사례는 직원들이 충분히 잘못된것을 알고 있는데도 사용하는 경우가 더러있다고 합니다 그이유는 만약 폼절됏어요, 들어가세요 등의 표현으로 말을 하면 일부 진상고객이 말투가너무 딱딱하다느니, 내가니친구니 하면서 항의를 한다고 합니다 이를 막기위해 사전에 극존대를 해서 진상고객의 심기를 건드리지 않기 위함이라고합니다. 마지막으로 제가 생각하는 해결방안은 첫번째 사례의경우 물론 본인이 좀더 공부하고 올바르게 사용해야하는 것도 있지만 자주 틀리는 높임법등을 정부기관 등에서 공익광고등을 통해서 알려주거나 전국민을 대상으로 온라인 교육프로그램을 만들어서 실시하는것도 좋은 방안이 될것입니다. 두번째, 세번째의 경우 서비스업 종사자들이 그렇게 문법을 파괴하면서 말하지않아도 되게끔 소속회사 차원에서는 바른 높임법 사용 매뉴얼을 만들고, 비상상식적인 항의 방지를 위해 모든 서비스업 종사자에게 고객과 대화를 녹취할 수 있는 법을 재정하면 진상고객들이 조금더 조심하는 사회가 될것같습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근본적으로 잘못된 높임법을 사용하는 것을 줄이려면 사람들이 왜 높임법이 중요하고 왜 잘써야하는지 필요성을 느끼고 스스로 깨닫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조금은 꼰대 처럼 보일지라도 바른꼰대사회 즉 사회적으로 높임법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문화가 자리잡아야한다고 생각합니다. 끝까지 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이상입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