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강의들을건대 2학년 1학기/대화의지혜와기법

대화의지혜와기법 10주차

by 공부해열 2022. 5. 8.

10주 차는 의사소통과 대화에 대해 마지막으로 살펴봅니다. 오늘은 대화 행위와 간접대화 행위, 간접대화 행위의 동기, 간접대화 행위의 특징, 간접 대화 행위의 구성요소 등을 보겠습니다.

 

직접 대화 행위와 간접대화 행위

직접 대화 행위는 의도하는 수행 행위를 직접적으로 표현하는 것입니다 예시로 "주유소가 어디 있는지 말해주세요"입니다. 간접대화 행위는 관련된 다른 표현으로 돌려 말함으로써 목적하는 수행 해위를 간접적으로 나타내는 것입니다. 간접대화 행위의 예시로 "실례지만, 주유소가 어디 있는지 아세요?" 등이 있습니다.

간접대화 행위의 동기

간접 대화 행위를 하는 이유는 직접적으로 말하기로 결심하더라도 무한히 많은 여러 측면의 진실 중에서 어떤 것을 말하는 것이 직접적인 것인가를 판단해야 하는 문제가 남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우리가 말하 거 난 듣는 내용의 바탕에는 무수한 가정이 깔려 있기 때문에 직접적으로 말하는 것으로는 충분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또 의도를 직접적으로 말하는 것은 종종 다른 사람에게 상처를 주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대화 양식이 다르면 무엇이 직접적인 것인지도 불투명해지기 때문입니다.

구체적으로 얘기하자면 직접적으로 진실을 말하기 어려운 경우로 우리는 진실의 모든 내용, 모든 측면을 우리의 마음에 담을 수는 있지만, 그것을 남김없이 직접적으로 이야기할 만한 기회도, 시간도 상황도 만들어지지 않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직접적인 것만으로는 불충분한 경우입니다. 직접적인 것으로 상처가 되는 경우에도 간접대화 행위를 씁니다. 대화 양식이 다른 경우도 있습니다.

간접 대화 행위의 특징

간접 대화 행위의 장점으로는 서로의 긴밀한 관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기 방어를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간점 대화 행위는 문화적인 콩 통성을 필요로 합니다.

간접대화 행위의 구성요소

구성요소 중 하나는 힘, 권위입니다. 힘이란 상대방이 긍정적으로 자신에 유리한 보상을 해줄 수 있거나 부정적으로는 자신에게 불리한 보복을 할 수 있는 상태입니다. 힘을 가지고 있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에게 말할 때 직접 대화 행위를 더 많이 사용하고 힘을 가지고 있지 않은 사람은 상대적으로 힘을 가진 사람에게 말할 때 간접 대화 행위를 더 많이 사용합니다. 직접 대화 행위는 직선적, 간접 대화 행위는 완곡적입니다. 그리고 또 다른 구성요소로는 사회적 거리입니다. 사회적 거리가 먼 경우에는 간접 대화 행위를 많이 사용합니다. 같은 사람을 만나면서도 처음 만날 때보다는 자주 만날수록 직접 대화 행위를 많이 사용합니다. 다른 구성요소로 부담의 크기가 있습니다. 부담의 크기는 경제적인 요인에 따라 결정됩니다. 부담의 크기는 요구하는 정보의 내용에 따라 다릅니다. 직업, 가족 관계를 묻는 것보다는 체중, 월수입을 묻는 것이 더 부담의 크기가 커집니다. 부담의 크기가 커질수록 간접 대화 행위로 표현하는 빈도는 높아집니다. 또 다른 구성요소는 권리나 의무입니다. 권리나 의무와 같은 것을 이야기할 때 간접 대화 행위를 사용하는 빈도가 낮아집니다. 권리가 아닌 것을 요구할 때 간접 대화 행위를 사용하는 빈도가 높아집니다. 여기까지가 간접대화 행위의 구성요소입니다.

힘이나 사회적 거리, 부담의 크기, 권리나 의무는 고정되어 있는 것은 아닙니다. 가까운 사람들 사이에서 직접 대화 행위가 더 많이 사용됩니다. 대화가 상대방에게 우호적인 행동으로 받아들여지기도 하지만, 공격적인 행동으로 받아들여지기도 합니다. 간접 대화 행위가 성공적으로 사용되면 상대방과의 유대관계를 유지하면서도 자기 방어를 할 수 있지만, 잘못 사용될 경우 서로의 관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지금 하는 말에 대해 상대방이 이상한 반응을 보이면 자신의 의도를 좀 더 직접적으로 표현하려고 노력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