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강의들을건대 3학년 1학기/기후변화와산업

기후변화와산업 1주차

by 공부해열 2023. 3. 7.

1주 차 수업내용은 OT 느낌으로 강의를 받았습니다. 저는 중간고사 기말고사 기간 이외에는 시험내용을 다루지 않고 수업내용 중 기억에 남는 것 위주로 포스팅을 이어 나갈 생각이에요

먼저 성적 평가 방법은 출석 10%, 과제 20%, 중간+기말 70%이에요. 앞으로 배우게 될 주제는 기후변화의 의미, 기후변화와 국제협상, 탄소충립의 의미와 국가별 대응, 그린뉴딜, 배출권거래제, 재생에너지 공급의 의무화제도, CBAM과 RE100, 수소경제, ESS, CCUS, DAC 등의 기술과 관련 정책적 이슈, 탄소 발자국과 녹색소비, 기업의 ESG 경영, 기후변화 회의론자의 주장과 지구공학, 기후변화와 대기오염 등이 있어요

기후변화는 사실 융합에 관련성이 깊어요. 융합에 비판적인 여론이 많아요. 전공이 2개, 전문적이지 못함, 한 분야에 오래 깊게 파지 않는다 등의 의견이 많지만 쉬운 예시로 원자력발전소가 있어요. 거기에는 각종 전문가가 있기 때문에 가능한 기술들이 많습니다. 융합은 전문성보다는 창의성이 강조됩니다. 서로 상극이라고 생각되는 학문을 교류시키는 역할도 합니다. 그리고 한 분야에 전문가가 되어 다른 분야로 확장도 가능해요

사람들이 혼동하기 쉬운 것이 기상, 기후입니다. 기상은 날씨로 특정 지역의 대기 중에서 일어나는 순간적이고 다양한 기상현상으로 시시각각 변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기후는 장기간에 걸쳐 나타난 기상을 평균과 변동성 측면에서 통계적으로 설명한 것입니다. 참고로 과거 1만 년 동안 평균기온은 +-0.4도 정도로 왔다 갔다 했어요.

수증기도 온실효과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데 사람이 통제할 수 있는 영역이 아니기에 온실가스에서는 빠져있습니다. 수증기에 대부분은 바다 해수면에서 발생해요.

과거 오존층은 프레온 가스로 인해 망가지기도 했는데요 현재는 프레온가스의 사용저하로 오존층은 정상화가 되었습니다. 인류가 환경파괴를 막아낸 사례 중 하나라고 볼 수 있어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