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주 차에서는 의사소통과 대화, 의사소통의 원리에 대해서 배웠습니다. 세부적인 내용은 대화의 의미, 맥락, Grice의 대화 원리 등입니다.
대화의 의미
발화는 대화를 이루고 있는 맥락에서 완결된 작은 단위입니다. 예를 들어 이 전기자전거 댁의 거예요? 등입니다. 문장이 그 차제에 뜻을 가지고 있듯 발화도 그 자체로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맥락
맥락은 대화를 할 때 이루어지는 사고를 맥락에 의존시키고, 맥락 안에서 움직이게 됩니다. 예를 들어 A:지금 당장 이 업무 처리할 수 있나요? B: 저, 급한 업무가 있는데요? A: 그럼 내일은 어때요? 등의 구조를 맥락이라고 합니다. 맥락 효과란, 한 사람이 가지고 있던 기존의 개념에 새로운 정보가 가해짐으로써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자기가 가지고 있던 기존 정보나 상징은 내용이 새로운 정보를 받아들임으로 없어지는 경우, 자기가 가기고 있던 기존 정보나 상정 내용이 새로운 정보로 인해 더욱 강화되고 합리화되는 경우 기존 정보와 새로운 정보가 합해져서 새로운 맥락적 함축의 의미가 생성되는 경우 등이 맥락 효과라 불립니다. 대화의 맥락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요소는 비유입니다. 예를 들어 어제 A: 나 호랑이 있은가 봐 B: 왜? 어제 영화 봤어? 성격 테스트? A:아니 호랑이도 제 말하면 온다 그러잖아 직장동료들이 내 호박씨 까더라고 나 몰래 A: 직장 얘기야? 등의 비유를 들어 이야기하면 비유는 맥락에 중요한 요소가 됩니다. 비유는 서로 다른 문화를 바탕으로 비유를 사용하고 있어서 대화에서 서로 이해를 지연시키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럴 때는 비유가 장애 물적 요소가 되니 적절히 비유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grice 대화의 원리
paul grice는 대화의 원리를 객관적으로 규명하고자 한 학자입니다. 이 학자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요소가 격률이라는 것인데요, 격률이란 근본적이고 합리적인 사고에서 출발하여 협력을 목적으로 하는 대화에서 효과 적이 고도 효율적으로 언어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대화를 하는 데 있어서 어떤 묵시적인 지침이라 할 수 있습니다. grice는 협동의 원리와 4가지 기본 대화 격률을 제시하였는데요 그것은 양, 질, 관련성, 방법 등이며 협동의 원리란 대화를 할 때 지금 하는 말이 지금 이루어지고 있는 상태에서 지향한다고 생각되는 목적이나 방향의 요구에 합치되도록 말을 하는 것입니다. 다음은 격률을 보겠습니다. 양의 격률은 필요한 양만큼의 정보성만을 제공하는 것입니다. 질의 격률은 진실성, 관련성의 격률은 적합성이 있는 말을 뜻하고 방법의 격률은 간단명료하라는 것입니다. 그럼 조금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협동의 원리는 대화의 기본적인 전제인 상호성에서 기인되는 것이고 말을 하는 사람은 지금 이루어지고 있는 대화의 목적을 파악하고, 그 목적에 맞는 대화를 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대화의 흐름과 일치되는 대화를 통하여 결속 성을 유지한다는 것이고 말을 듣는 사람은 상대방이 한 말은 지금 이루어지고 있는 대화의 목적이나 상황에 맞는 결속 성이 있는 말로써 받아들이고 해석한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대화상의 함축이라는 것이 있는데 어떤 의도를 암시하거나 함의할 때 전달되는 지식, 어떤 격률을 본의 아니게 위반하거나 명백히 도외시하거나 따르지 않겠다고 결정할 때 발생합니다. 다음은 양의 격률입니다. 필요한 양만큼의 정보성만을 제공하라는 것이고, 필요 이상으로 많은 정보성을 가지게 하지 말라는 것입니다. 다음은 질의 격률입니다. 진실성과 관련 있고 말하는 사람이 거짓이라고 생각하는 것이나 타당한 증거를 갖고 있지 않은 것은 말하지 말라는 것입니다. 관련성의 격률은 적합성이 있는 말을 하라는 것입니다. 최소한 주어진 주제와 관련이 있거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적당하다고 생각되는 경우입니다. 방법의 결류은 표현의 모호성을 피하고 중의성을 피합니다. 또 간결하고 조리 있게 순서대로 말하는 것입니다. 즉 간단명료하라는 것입니다.
'강의들을건대 2학년 1학기 > 대화의지혜와기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화의지헤와기법 8주차 (0) | 2022.04.19 |
---|---|
대화의지혜와기법 7주차 (0) | 2022.04.18 |
대화의지혜와기법 5주차 (0) | 2022.04.01 |
대화의지혜와기법 4주차 (0) | 2022.03.25 |
대화의지혜와기법 3주차 (0) | 2022.03.17 |
댓글